세종시 BRT B3 버스 (세종터미널 ↔ 오송역)
세종시에서 오송역까지 이동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노선은 바로 BRT B3번 버스입니다. KTX·SRT가 지나는 오송역은 전국 이동의 관문이기 때문에, 세종 주민들에게 필수 교통수단이죠. 이 글에서는 B3번 버스 시간표, 요금, 정류장 위치, 이용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B3번 버스 노선 개요
B3번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출발해 세종시 주요 생활권을 경유한 뒤 오송역으로 연결됩니다. 환승 없이 KTX/SRT까지 곧바로 갈 수 있어 직장인·학생·여행객 모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세종 내부를 종단하는 BRT 전용차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시성도 높은 편입니다.
운행 시간표 (첫차 · 막차 · 배차 간격)
- 첫차: 세종터미널 05:20 / 오송역 06:00 - 막차: 세종터미널 23:00 / 오송역 23:30 - 배차 간격: 약 15~20분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가 더 촘촘해져 대기 시간이 짧습니다.
구간 | 첫차 | 막차 | 배차 간격 |
---|---|---|---|
세종터미널 → 오송역 | 05:20 | 23:00 | 15~20분 |
오송역 → 세종터미널 | 06:00 | 23:30 | 15~20분 |
요금 & 환승
- 성인: 1,800원 - 청소년: 1,200원 - 어린이: 900원 수도권처럼 환승 제도는 아니지만, 세종 내부 BRT와 연계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정류장 위치 & 탑승 팁
- 주요 정류장: 세종터미널, 정부세종청사, 첫마을, 오송역
오송역에서는 KTX/SRT 환승 통로와 바로 연결되어 있어 캐리어를 끌고 다니기에도 편리합니다. 출근 시간대에는 혼잡하니, 첫마을·정부세종청사 구간에서 미리 탑승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용 후기 & 특징
- “지하철보다 빠르고 편하다” - “출퇴근 시간에는 만석이지만 배차가 짧아 금방 탈 수 있다” - “오송역 환승할 때 정말 편하다” 이런 후기가 많습니다. 특히 세종시민들은 KTX 이용 시 B3번을 가장 많이 탑니다.
대체 교통수단 비교
B3번 외에도 택시, 자가용이 있지만, 요금·편의성 면에서는 B3번이 가장 실속 있습니다.
교통수단 | 소요 시간 | 요금 | 특징 |
---|---|---|---|
BRT B3 버스 | 약 30~35분 | 1,800원 | 저렴 · 정시성 높음 |
택시 | 약 20분 | 약 2만원 | 빠르지만 요금 비쌈 |
자가용 | 약 20~25분 | 주유비+주차비 | 편리하지만 혼잡 |
마무리
세종시민들의 필수 발, BRT B3번 버스. 저렴한 요금, 환승 없는 편리함, 오송역과의 완벽한 연결성까지 갖춘 노선입니다. 출퇴근·출장·여행 모두에 최적의 교통수단으로, 세종에서 오송역을 오가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2025.08.25 - [분류 전체보기] - 송도→공항 303번 버스 완벽 가이드 (시간표, 요금, 노선, 후기)
송도→공항 303번 버스 완벽 가이드 (시간표, 요금, 노선, 후기)
송도→공항 303번 버스 완벽 가이드 (시간표, 요금, 노선, 후기)인천 송도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가는 방법을 찾는다면, 많은 사람들이 공항철도나 리무진 버스를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저렴
star78.kr
2025.08.18 - [분류 전체보기] - 청년내일채움공제 해지 불이익 사례 2025(실제 후기)
청년내일채움공제 해지 불이익 사례 2025(실제 후기)
청년내일채움공제 해지 불이익 사례 2025 (실제 후기)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가 2년 이상 근속하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적립
star78.kr
2025.08.17 - [분류 전체보기] - 2025년 코레일 테마열차 완벽 가이드
2025년 코레일 테마열차 완벽 가이드
2025년 코레일 테마열차 완벽 가이드여행은 단순히 이동이 아니라 특별한 경험이 되어야 합니다. 코레일은 일반 KTX, ITX뿐만 아니라 여행을 즐기기 위한 테마열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
star78.kr
2025.08.18 - [분류 전체보기] - K-패스 청년 교통비 환급 부산 2025
K-패스 청년 교통비 환급 부산 2025
K-패스 청년 교통비 환급 부산 2025교통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부산 청년을 위한 반가운 정책이 있습니다. 바로 K-패스를 활용한 청년 교통비 환급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대중교통을
star78.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