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최저시급 각종수당 (교육급여,의료급여포함)인상률 안내

by 감사라니 2025. 1. 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의 최저시급등 인상되는 여러가지 수당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2025 최저시급은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5% 인상된 금액입니다.

  •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 12,036원
  • 월급 환산액: 주 40시간 근무 기준, 월 209시간으로 계산 시 2,096,270원

 최저시급 적용 대상

  • 적용 대상: 1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
  • 적용 제외 대상:
    •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과 가사사용인
    • 선원법의 적용을 받는 선원 및 선원을 사용하는 선박 소유자
    • 정신 또는 신체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아 고용노동부 장관의 적용 제외 인가를 받은 경우
    • 2025 최저입금 적용기준 자세히 다운로드

8.5 2025년 적용 최저임금 시간급 10030원 결정 고시(근로기준정책과).pdf
0.09MB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097,773원으로, 전년 대비 6.42% 인상되었습니다.

 급여별 선정기준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 4인 가구 기준: 1,951,287원 이하
  • 의료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 4인 가구 기준: 2,439,109원 이하
  •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 4인 가구 기준: 2,926,931원 이하
  • 교육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 4인 가구 기준: 3,048,887원 이하

의료급여 인상사항

  • 건강생활유지비 인상: 월 6,000원에서 월 12,0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교육급여 지원내용

교육급여는 생계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자의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실질적인 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을 갖습니다. 2025년에는 교육급여 지원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최저시급은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나요?

A1: 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면 정규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2: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2: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은 8시간 × 10,030원 = 80,240원입니다. :

Q3: 생계급여를 받기 위한 재산 기준이 있나요?

A3: 네, 생계급여 수급을 위해서는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기준도 고려됩니다. 일반 재산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Q4: 교육급여는 어떤 항목을 지원하나요?

A4: 교육급여는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 대금, 학용품비 등을 지원하며, 지원 항목과 금액은 학년과 학교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Q5: 의료급여의 본인부담금은 어떻게 되나요?

A5: 의료급여는 연간 외래 진료를 365회를 초과할 경우 본인부담금을 상향하는 차등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기존의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전환되어 진료비의 4~8%를 부담하게 됩니다. 

 

좀더구체적인 정보보기

https://buly.kr/EdsNdh3

 

2025년 최저시급 및 복지급여 안내

2025년 최저시급2025년의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5% 인상된 금액입니다.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 12,036원월급 환산액: 주 40시간 근무 기준, 월 209시간으로 계산

life.rani78.com

 

반응형